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콘택트렌즈 차이 특징 장단점 청소년층 컬러콘택트렌즈 부작용 고르는법

by 뭘쫌아는여자 2020. 12. 18.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들이 흔히 사용하는 콘텍트렌즈에 대해 알아볼까해요.

누구나 느끼는 거지만 안경이 잘어울리는 사람이 있지만 거의가 안경을 쓰면 왠지 내모습이 덜예뻐보인다는 생각이 많이듭니다. 미관상도 그렇지만 안경쓰고 운동이라도 하려면 땀에 미끄러져서 이만저만 불편한게 아니지요. 특히나 요즘처럼 마스크가 일상화 되어 있는때에는 김서리고 귀에 걸치는 게  몇개이다보니 정말 불편합니다.

콘텍트렌즈를 한번도 사용해보지 않았는데 요즘같으면 하나 사용해봐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그렇지만 아이들이 둘다 콘텍트 렌즈를 쓰기때문에 렌즈에 대해 어느정도는 알고 있었지만 좀더 상세히 알아보려 합니다.

얼마전에는 우리딸아이가 비싼 렌즈를 해오자마자 세면대에서 렌즈 하나를 물에 흘려 보내는 사태가 있어서 얼마나 속상했게요..

이래저래 콘텍트렌즈 관심이 갑니다.

콘택트렌즈는 각막을 덮어 정상적인 산소, 눈물,분비물을 차단하는 작용을 합니다. 렌즈 착용시  사람들이 느끼는 불편함의 원인이 됩니다. 눈도 숨과 마찬가지로 산소가 들어가고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과정을 반복하는데요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면 산소공급이 저하됩니다. 이때 산소가 충분하지 않으면 노폐물이 축척되고 높은 삼투압이 형성되어 농도가 짙어지면서 이를 해결하기위해 다른 구조에서 물이 들어오게 됩니다 문제는 이러한 과정이 안구 구조에 실질 부피를 증가시키게되는데 각막부종을 나타나게 합니다.

이러한 저산소증으로 콘택트렌즈 부작용의 대표적증상인 신생혈관이 발생합니다 산소가 적어지면 대사활동저하 감각도 저하되고 감각 상피세포의 변화로 인해 각막의 회복을 저하시키게 되어 조직을 변화시켜 결과적으로 신생혈관을 발생시킵니다. 

눈에 산소는 에너지원인데 콘텍트렌즈는 이점이 가장큰 숙제입니다.

콘택트렌즈는 크게 단단한 렌즈인 하드렌즈와 부드러운 렌즈인 소프트렌즈로 나눌수있습니다.

하드렌즈의 경우 직경이 작고 실리콘재질로 산소투과성이 높고 각막난시의 교정이 가능합니다

산소투과와 난시의교정이 필요한 사람의경우 하드렌즈 착용이 적합하다고 합니다.

콘택트렌즈부작용으로는 잘못된 콘택트렌즈 착용과 위생면에서에 의해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다고 합니다.

부작용을 일으킨 렌즈는 소프트콘택트렌즈,컬러 콘택트렌즈 착용자가 대다수라고 합니다.

요즘에는 청소년층에서 일반콘택트렌즈에 비해 산소투과율이 떨어지는 컬러 콘택즈렌즈를 쉽게구입하여 많이 착용하는데요, 부작용유형별로 잘못된 착용으로 각막상피가 벗겨져 통증과 시력저하를 호소하는 각막 미란환자가 제일 많으며 안구충혈과 가려움증을 호소하는 알레르기 질환 무균성 각막염증 환자가 많이 있으며 검은자위에 세균이 침투해 하얗게 염증이 생기는 각막 궤양,건성안등 다양한 질환들이 생긴다고 합니다.

청소년층의 각막질환은 성인에 비해 큰폭의시력 저하는 물론 만성질환으로 진행할 확률이 높으므로 임의로 구입하여 착용하는것은 절대 피해야 한다고 합니다. 인체에 직접 접촉하는 콘택트레즈를 전문의약품은 전문가와 상담없이 착용은 신중하게 구입하여야 할것같습니다.

 

 

 



댓글